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eometry Dash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Geometry Dash의 22번째 스테이지에 삽입될 곡에 대한 내용은 Geometry Dash(음악) 문서
Geometry Dash(음악)번 문단을
Geometry Dash(음악)#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년 11월에 예정된 Geometry Dash의 대규모 업데이트에 대한 내용은 Geometry Dash/업데이트 로그/2.2 문서
Geometry Dash/업데이트 로그/2.2번 문단을
Geometry Dash/업데이트 로그/2.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https://namu.wiki/thread/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Geometry Dash 아이콘.svg{{{+3 지오메트리 대시[* "대쉬"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이는 잘못된 표기법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와 문서 참조.]}}}
Geometry Dash
||
개발RobTopGames
유통
플랫폼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iOS 로고.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 파일:Windows Phone 로고.svg
파일:Windows 로고.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acOS 로고.svg[[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1]
ESD파일:스팀 로고.svg[[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파일:Google Play 로고.svg[[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장르아케이드, 음악 게임, 샌드박스[2], 플랫포머
엔진파일:external/www.cocos2d-x.org/801?.png Cocos2d-x
출시모바일
파일:세계 지도.svg 2013년 8월 13일
파일:스팀 로고.svg[[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파일:세계 지도.svg 2014년 12월 21일
연동 게임Geometry Dash Meltdown
Geometry Dash World
Geometry Dash SubZero
버전파일:스팀 로고.svg[[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2.13
모바일
2.111, 2.2.11[3], 2.2.12[4]
상점 페이지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5]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
1.1. 제작 비화
1.2. Lite
1.3. DLC
1.4. Steam 버전
1.5. 버그
1.6. 10주년과 2.2 업데이트
2. 시스템 요구 사항
3. 특징
3.1. 연습 모드
3.2. 난이도
3.2.1. 극악의 난이도
6. 온라인
6.1. 크리에이팅
6.2. 랭킹
6.2.1. 크리에이터 랭킹
6.2.2. 별 랭킹
6.3. 퀘스트
6.4.1. 데일리 레벨
6.4.2. 위클리 데몬
6.4.3. 건틀렛
6.4.4. 맵팩
7. 기타 컨텐츠
7.4. 이스터 에그
7.4.1. 로딩화면
8. 커뮤니티
10. 평가
13. 여담
13.1. 2차 창작



1. 개요[편집]


공식 트레일러[6]

Jump and fly your way through danger in this rhythm-based action platformer!

이 리듬 기반 플랫폼 게임에서 점프하고 비행하며 위험을 헤쳐나가세요![7]

스웨덴 국적인 로버트 니콜라스 크리스티안 토팔라 RobTop(Robert Nicholas Christian Topala)이 운영중인 1인 회사 RobTopGames[8][9]에서 2013년 8월 13일에 출시한 iOS, Android, Windows Phone용 리듬 기반 액션 플랫포밍 유료 게임.

App Store에서 3300원에, 구글 플레이나 Windows Store에서 2100원에, Steam에서 4400원에 정식판을 구매할 수 있다. Cocos2d-x 엔진이 사용된다.

풀 버전이 아닌 무료 체험판 버전, 즉 라이트 버전도 있다. 무료인 대신 맵 만들기가 지원되지 않고 스테이지도 16스테이지인 Hexagon Force까지밖에 없다.[10] 그리고 본래 맵 만들기 버튼이 있던 자리에 풀 버전 구입 버튼이 있다.


1.1. 제작 비화[편집]


베타 버전 당시 플레이 영상
이때는 게임 이름이 "Geometry Jump"[11]였다. BGM은 TMM-43의 Ultimate Destruction. 그러나 BGM 사용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했기 때문에 개발이 마무리되고 나서 RopTop이 TMM43에게 BGM 사용 가능 여부를 물었으나 단칼에 거절당했다.[12] 그래서 게임을 전부 갈아엎어 버리고 지금의 Geometry Dash를 만들게 되었다.

그런 이유로 현재는 앱의 이름이 Geometry Dash지만, apk 파일을 뜯어보거나 Mac으로 Geometry Dash를 열면 여전히 Geometry Jump[13]로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의 영상에 나온 레벨은 현재 온라인 레벨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여담으로 베타 버전 영상에서 나온 스테이지는 현재의 5스테이지인 Base After Base와 상당히 유사하다.


1.2. Lite[편집]


||
개발RobTopGames
플랫폼파일:iOS 로고.svg |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
출시일2013년 12월 19일
장르아케이드, 음악 게임
연동 게임Geometry Dash[14]

Geometry Dash의 무료 버전. 공식 버전은 21번째 맵인 Fingerdash까지 있는 반면에 16번째 맵인 Hexagon Force까지밖에 없다.[15] 맵 만들기 기능이나 다른 여러 기능들이 없다. 맵 만들기 버튼은 풀 버전 다운로드 버튼으로 바뀌고 데일리맵, 오브/다이아 등의 시스템, 커스텀 레벨과 건틀렛, 금고 등이 없다. 요약하자면 체험판 정도가 되겠다. 참고로 2022년 5월 28일 기준으로 Geometry Dash 보다 먼저 2.2버전[16]이 나왔다. Geometry Dash 공식 디스코드 서버 공지 내용[17] 업데이트된 Geometry Dash Lite 영상 Google Play Store 기준, 본판보다 Lite의 다운로드 수가 더 많다. 본판은 500만, Lite는 1억. 또한 Geometry Dash MeltdownGeometry Dash World, Geometry Dash SubZero는 5000만을 기록했다. 무료로 플레이하는 유저가 많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총 16단계까지 스테이지가 있으며 업데이트에 따라 Lite의 스테이지도 많아지고 있는데 Clubstep, Electrodynamix, Hexagon Force 등 제법 난이도 있는 스테이지들도 해금됐기에 가볍게 플레이할 유저들에게는 Lite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 게다가 2.2이 Lite가 먼저 출시되기 때문에 2.2 포탈이 있다.


1.3. DLC[편집]


Geometry Dash의 파생작.

1.4. Steam 버전[편집]


스팀 링크

2014년 12월 21일, 스팀 그린라이트에도 출시되었다. 플랫폼은 WindowsMac을 지원하며, 가격은 조금 더 비싼2배 3.99$ USD(4400원).

2017년 1월 즈음 지오메트리 대시와 스팀, 뉴그라운즈 사에서 갈등이 발생해 판매중단이 되었으나 KST 2월 21일 새벽 4시에 다시 스팀버전이 올라왔다.

2017년 11월 13일에 2.11 버전이 업데이트 되었다.

스팀 출시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팀 버전으로 옮겨가면서 이 게임은 더 유명해지고 이 게임의 가장 큰 문제점인 상향평준화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18]

그러나 고퀄리티의 유저 맵들을 플레이하기 위해선 이것보다 훨씬 더 높은 사양이 요구된다.


1.5. 버그[편집]
















1.6. 10주년과 2.2 업데이트[편집]


파일:지메10주년.jpg
10주년 기념 영상

In 10 days, the 10-year anniversary of Geometry Dash will be celebrated with a special video. The time it will Premiere on YouTube is shown below. Stay tuned for more information!

/RubRub

열흘 후에, 지오메트리 대시의 10주년 기념일이 특별한 영상과 함께 축하될 것입니다. 유튜브에 최초 공개될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23]

더 많은 정보를 위해 주목해주세요!

/RubRub

8월 3일 RobTopGames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커뮤니티 게시글. #

2023년 8월 13일, 이 게임이 출시된지 10주년이 되었다.[24] 이를 기념하기 위해 RobTop은 특별한 영상과[25] 함께 10주년을 축하해달라고 한다. 이에 유저들은 10주년이 되어도 아직도 2.2를 안냈냐며 징글징글하다 생각해도 이 게임도 10년이 다 돼간다는 걸 체감하며 축하해하는 반응. 그 후 영상에서 드디어 2.2가 2023년 10월에 업데이트 된다는 것을 밝혔으나 후술한 이유로 인해 11월로 연기 되었다.

그리고 8월 20일에 이를 기념으로 소위 '보스전' 맵으로 유명했던 유저맵을 총집편하여 하나의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크레딧에서도 나름 인지도를 얻었던 유저맵들을 하나하나 왕복하면서 팬들에게 추억의 향수를 불러일으켰다.[26]

2.2 트레일러

Hey, Everyone,

Unfortunately, 2.2 will be not be coming in October as promised and is delayed to November. It just wouldn't feel right to release an update this big without stable servers and proper bugfixing. I tried my hardest to make it in time, but some work too longer than expected.

All I can do is apolize and do my best in these final weeks.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sharing all these new features with community.

Despite the delay, the update is still very close. which is why we have made a final release trailer. Check it out!

번역본 [펼치기 · 접기]
여러분들, 유감스럽게도 2.2는 약속한 10월에 찾아오지 않을 거고 11월로 연기되었습니다. 이렇게 큰 업데이트를 안정된 서버와 더 나은 버그 픽스 없이 출시하는 건 좋지 않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는 제시간에 맞추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몇몇 작업이 예상보다 너무 오래 걸렸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건 사과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뿐입니다. 저는 커뮤니티와 함께 새로운 요소들을 나누는 것이 정말 기대됩니다.

연기를 했지만 업데이트는 별로 남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마지막 2.2 출시 트레일러를 만든 이유죠. 확인해 보세요!

10월 22일 RobTopGames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커뮤니티 게시글.#


한국 시간 10월 22일 새벽, Explorers 지연과 2.2 10월 출시의 불확실 때문에 민심이 좋지 않은 상황에 2.2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아주 많은 콘텐츠와 즐길 거리 등 유저들은 환호했지만 그와 동시에 11월로 출시 연기를 확정지어서 아쉽다는 의견이 터져나왔다.


2. 시스템 요구 사항[편집]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최소 사양
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Windows XP
프로세서2.0+ GHz
메모리512 MB
그래픽 카드OpenGL 2.0 지원
저장 공간100 MB
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
운영체제Mac OS X 10.7
프로세서2.0+ GHz
메모리512 MB
그래픽 카드OpenGL 2.0 지원
저장 공간100 MB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화이트.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Android 4.0 이상iOS 8.0 이상
||


3. 특징[편집]


게임이 진행되는 방식은 The Impossible Game과 비슷하다. 일렉트로니카 풍의 BGM을 들으면서 터치로 여러 장애물들을 넘거나 피해서 죽지 않고 레벨을 클리어 하면 되는 게임.

플레이 할 때 가장 염두에 둬야 할 것은 그게 1%였든 99%였든[27]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클리어해야 한다.

연습 모드로 어려운 부분만 연습해서 클리어 하거나 맵을 복사[28][29]해서 Start Pos 트리거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Start Pos는 Start Position의 줄임말으로 Start Pos 트리거가 놓인 위치에서 게임이 시작되게 한다.[30]

단, 이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Start Pos의 위치를 연습하고자 하는 구간의 시작점에 바로 놓는 것이 아니라, 시작하고자 하는 위치보다 좀 더 앞에 놓는것을 권장한다. 그 이유 중 하나가 Start Pos로 시작하는 것은 실제 플레이에서의 관성까지 구현해주지는 않는다. 그리고 바로 클릭해야 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당황해서 다시 시작할 때마다 죽게 된다. 그러면 어템수와 멘탈이 매우 많이 소모된다.

게임 자체는 오래 할 요소도 없고 업데이트도 자주 되지 않지만, 게임 유저들끼리 스스로 맵을 만들고 플레이하며 커뮤니티를 만드는 게 또 하나의 특징이다.

플레이 횟수 제한이 없고 한 번 정품을 사면 인앱구매와 광고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재화를 오로지 실력과 노력으로 얻어야 하니 다른 몇몇 게임과 차별점을 둔다.[31]


3.1. 연습 모드[편집]


파일:HowToPlay04.png

어떤 맵에서든 연습 모드를 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때 초록색 다이아몬드 모양의 체크 포인트(부활 지점)를 지정할 수 있다. 설정에서 Auto Checkpoint를 켜놓으면 3번 점프해서 착지했을 때, 배 모드, UFO 모드, 웨이브 모드에서는 5초 간격으로 체크포인트를 자동으로 지정한다. 수동으로 체크 포인트 지정도 가능하며 마지막 체크 포인트를 지울 수도 있다.

2.1 업데이트 이후로 이제 1번만 점프 후 착지할 때와 비행시에는 1초마다 체크포인트가 생성되며, 설정에서 예전처럼 느리게 생성되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연습 모드에서 점프를 누른 상태로 죽으면 점프 상태가 저장되어서 생성될 때 자동으로 점프가 된다. 이 때 점프가 실수로 한 거였다면 그 체크포인트를 지워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공식 레벨에서 연습 모드로 클리어하면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하나 열어 준다. 보통은 색깔을 주지만 몇몇 맵에서는 아이콘도 준다.[32]

연습 모드에서는 레벨의 BGM 대신 연습 모드 전용 BGM이 나온다.[33] 원곡은 OcularNebula의 Stay Inside Me. 여담으로 원곡과 게임 내의 BGM은 미묘하게 다른데, 이는 Robtop이 음악을 살짝 바꾼 뒤 일정 구간이 반복되게끔 만들었기 때문. 원곡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포탈 시리즈의 GLaDOS가 부른 ost인 Still Alive 중 일부다.

여담으로 1.21 버전까지는 연습 모드 클리어 직전에 일반 모드로 바꾸면 스테이지가 바로 클리어되는 버그가 있었다. 이 버그로 인하여 일반 모드에서는 도저히 클리어할 수 없는 수준의 온라인 맵들이 올라오는 해프닝이 있었지만 1.30 버전 업데이트로 버그가 수정되면서 이런 일들은 사라졌다. 만약 1.2로 다운그레이드한다면 이런 일이 또 가능하겠지만, 현재는 온라인 레벨은 2.0부터 접근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1.3 버전에서는 배경색이 미리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 예를 들어 xStep에서 첫 비행 구간에는 배경색이 보라와 파랑 사이의 색이지만 거기서 죽고 부활하면 배경이 검은색이 된다.

설정에서 Hide practice buttons를 체크하면 연습 모드 버튼을 화면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3.2. 난이도[편집]


스테이지들의 난이도는 Easy(쉬움), Normal(보통), Hard(어려움), Harder(더 어려움), Insane(미침) 난이도가 존재했고, 1.3 버전에 Demon(데몬)이 추가되었다. Demon 난이도 맵도 유저 사이에선 Easy Demon, Medium Demon, Hard Demon, Very Hard Demon, Insane Demon, Impossible Demon, Extreme Demon 등으로 구분하기도 했으며, 이후 2.1 업데이트로 Easy, Medium, Hard, Insane, Extreme Demon이 추가되었다.[34] 자세한 내용은 따로 문서가 존재하니 참고. 난이도가 추가되고, 온라인 레벨 한정 1.6 버전에 추가된 Auto(자동) 난이도가 존재한다. 온라인 레벨에서 난이도가 정해지지 않은 레벨은 N/A(난이도 미정)으로 표기한다. 이렇게 총 12개의 난이도가 존재한다.

난이도를 표기하는 아이콘은 얼굴 표정으로 표기하는데, 얼굴이 로봇인 Auto 난이도를 제외하면 쉬울수록 웃는 얼굴이고 어려울수록 찡그리거나 분노하는 얼굴이다. N/A는 그냥 표정이 없고 눈만 있는 회색 얼굴.

아래는 각 난이도별 특징.
아이콘명칭설명
파일:Auto.pngAuto
(1★)
주황색의 로봇 얼굴. 말 그대로 가만히 있어도 클리어가 가능한 난이도이다. 다만 다른 난이도의 맵과는 다르게 오브는 쌓이지 않는다. 구버전 맵들 중에선 별 없이 오토 난이도로 표기된 맵들도 있다. 가끔은 엄청난 퀄리티가 있는 게 나오기도 하고[35], 오토인데도 코인이 있는 맵이나[36] 오토라고 표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이 아닌 맵도 있고 게임의 버전이 바뀌면서 물리엔진도 버전마다 약간씩 수정됐기 때문에 구버전 오토맵들 중에선 비밀길을 찾아서 깨야하는 맵들도 존재한다.[37] 게임 내 오토맵들만 모두 클리어해도 670개가 넘는 별을 얻을 수 있다.
파일:Easy GMD.pngEasy
(2★)
파란색의 웃는 표정. 매우 쉬운 난이도여서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초보자들도 쉽게 클리어할 수 있는 난이도.[38] 여담으로 거의 모든 Easy 맵이 별이 붙어 있다. 별이 없는 맵들은 대부분 제목 또는 맵 내부에 Easy 난이도로 레이팅을 희망하는 말이 적혀 있어 순수하게 별 없이 이 난이도를 받는 것은 어렵다. 또한 상향평준화로 거의 모든 난이도의 맵들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Easy맵은 오히려 시간이 갈수록 더 쉬워지는 추세를 보인다.[39] 난이도 특성상 대게 게임플레이 위주보다는 감상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Easy 맵이 많아졌기에 사실상 점프를 몇번만 하는 Auto 맵들과 다를바 없어지는 추세이다.
파일:NormalGMD.pngNormal
(3★)
초록색의 미소를 띤 표정. 쉬운 난이도지만 Easy보다는 확실히 어렵다.[40] 1.30 미만 버전(별 기능이 없는 버전)에서는 대부분의 유저맵이 Normal 난이도가 붙었다. 현재 별이 없는 Auto 레벨들은 Auto가 아닌 이 마크가 붙는다.
파일:HardGMD.pngHard
(4~5★)
노란색의 불안한 표정. 아직 컨트롤에 익숙하지 못하다면 깨기 어려울 수 있으나 표기와 달리 웬만한 맵들에 비해서 약간 쉽게 깰 수 있다. 4성과 5성은 난이도 차이가 별로 없다. 현재 별이 없는 Auto 레벨중에서 버그가 있는 레벨은 이 마크가 붙는다.
파일:HarderGMD.pngHarder
(6~7★)
빨간색의 화가 난 표정. 어려운 맵들이 나오기 시작하며 이제부터 어느 정도의 실력이 필요해야 도전해 볼 만하다. 간혹 별붕일 경우에는 ClubstepTheory of Everything 2를 상회하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 맵도 있다.
파일:InsaneGMD.pngInsane
(8~9★)
자주색의 소리를 지르는 듯한 표정. 말 그대로 매우 어려운 맵이 주를 이룬다. 간혹 찾을 수 있는 별에 비해서 난이도가 미치게 어려운 맵일 경우에는 아래의 Demon을 뛰어넘는 난이도를 가진 경우도 있다. 8성과 9성은 난이도 차이가 좀 나는 편이다.
파일:DemonGMD.png
[41]
Demon
(10+★)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데몬(Geometry Dash)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실력을 쌓는 유저들이 사실상 가장 많이 플레이하게 되는 난이도며, 게임 내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이다. 현 시점 Geometry Dash의 메인 컨텐츠라고 볼 수 있다. 데몬 난이도 내에서도 5개의 난이도로 나뉘는데, 5개의 등급이 있는 만큼 데몬 등급에서도 각 레벨들의 난이도는 천지 차이. Easy Demon은 공식맵 중 가장 어려운 Deadlocked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조금 더 쉬운 수준인 반면 Extreme Demon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PC, 모바일, 콘솔을 사용하는 모든 게임들 중에서도 난이도가 가장 어렵다.[42] 한번 보고 가자.[43]
이따금씩 비밀길이나 텅 빈 맵이나 노클립 맵, 일명 '꽁데'가 생기기도 한다. 물론 롭탑이 빠르게 처리는 하지만 귀찮아서인지 아직 안 된 맵들도 꽤 존재한다.


3.2.1. 극악의 난이도[편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Geometry Dash/문제점
,
,
,
,
,


상술했듯 최상위권 난이도의 레벨들은 비디오 게임 역사상 가장 어렵다는 평을 듣어도 손색이 없으며 60hz의 기기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44] 단순 터치만으로는 레벨을 클리어 할 수 없으며 터치, 홀드, 약간의 암기가 종합적으로 숙련되어야 클리어 할 수 있다. 최상위권에는 60fps 퍼펙트는 수도 없이 나오고, 120fps 퍼펙트, 즉 0.0083초 = 8.3ms도 간간이 나온다.[45][46]

또한 유저들의 실력도 꽤나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2020년, 역대 비디오 게임 중 최상급 난이도라는 Tartarus는 2023년 기준 25위며, 그 보다 훨씬 어렵다고 여겨지는 Slaughterhouse는 1위는 커녕 임파맵이라고 여겨지던 Silent clubstep에 밀려 콩라인이고, Tidal Wave는 그보다 어려운 Acheron과 한 격차가 차이난다.

지메에는 거의 무한에 가까운 맵을 만들 수 있는 에디터가 있는데 원한다면 쉽게 난이도를 올리고 화려한 디자인을[47] 가진 맵을 제작할 수 있어 어려운 맵 상위권에는 상상도 못할 난이도의 맵들이 깔려있다.

지메는 2014년 말 스팀버전이 올라오고 PC에서도 지메를 할 수 있게 되자 그때 첫번째로 상향 평준화가 일어났었다.[48], 이후 2019년 말까지 미친듯이 상향 평준화가 지속되지만[49] Tartatus라는 극악 맵의 존재로 2021년 중반까지는 상향평준화가 잠시 멈췄으나, 2021년 중반 이후 Slaughterhouse의 등장으로 2023년 중반까지 계속해서 상향평준화가 진행 중이다.[50]
2023년 9월 기준 가장 어려운 맵 Tidal Wave의 60fps 퍼펙트의 개수
60프레임 퍼펙트란, 60분의 1초[* 약 0.016초. 경지에 올랐다면 타이밍을 알고 찍을 수 있겠지만 실력파 유저들도 그냥 감으로 지나가야할 정도로 극악의 타이밍이다. 위의 Tidal Wave의 60프레임 퍼펙트 개수를 보면 200개로, 0.016초의 타이밍을 200번 넘겨야 클리어할 수 있다는 말이다.] 간격을 정확히 눌러야 지나갈 수 있다. 위에 서술했듯이 불가능으로 간주되었던 맵들이 하나 둘씩 클리어되고 아예 일반적인 컴퓨터 사양으로는 플레이가 불가능해지는 극악한 난이도의 맵들이 베리파이되고 있다.

2023년 9월 기준 가장 어려운
2p맵 Codependence(8위), 암기맵 LIMBO(12위)
2p맵은 듀얼 상태일 때 각각의 아이콘을 따로 조종해야 한다. 각각의 구간 당 Hard Demon~Insane Demon급인데 이를 한 사람이 동시에 두 손으로 클리어한다니 미친 난이도인게 틀림없다. 또 LIMBO는 안 그래도 어려운 맵을 싹 다 암기로 도배해놓았다. 보기만 해도 어지러운 이 맵보다 더 어려운 맵이 10개 이상이나 존재한다는 뜻.

여담으로 핵 사용이 자유롭고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해 맵을 만들 수 있는 지메 특성상 사람이 불가능한 맵을 가지고 순위를 매기며 노는 사람들도 나타냈다. 문서 참조.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지만 상술했듯이 예전에 불가능하다고 취급받던 맵들이 상향평준화로 인해 베리파이 되고 있다. 지금의 세미 임파서블급 맵들이 언젠가 깨질지도 모를 노릇.


4. 아이콘킷[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아이콘킷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플레이어의 아이콘이나 데스이펙트, 트레일 등이 서술되어 있다.


5. 스테이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스테이지 일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온라인[편집]




6.1. 크리에이팅[편집]




6.1.1. 장애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오브젝트 일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장애물을 제외하고도 맵 내의 중요 구성요소가 서술되어 있다. 블록, 가시 등.


6.1.2. 트리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트리거 일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랭킹[편집]


이 게임에서의 랭킹은 크게 2개로 나뉘는데, 크리에이터 랭킹(Creators Ranking)과 별 랭킹(Star Value Ranking)이다.


6.2.1. 크리에이터 랭킹[편집]


말 그대로 이곳에는 맵을 잘 만들어 맵에 별이 많이 붙는 크리에이터들이 등록되는 랭킹이다.
그러나 이것 때문에 한 번이라도 개발자에게 눈독을 들여두면 별이 잘 붙고, 그렇지 못하면 별이 잘 붙질 못해 차별이 심해진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자주 나온다. 이것에 대해서는 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사고 문서를 참조.

이곳은 별 개수와는 다르게 '크리에이터 포인트' 라는 방식으로 랭킹을 계산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스타가 붙은 맵의 개수대로 크리에이터 점수를 주는 방식이었으나 1.50 버전부터는 'Featured', 즉 난이도 뒤에 후광이 붙은 맵을 받으면 1개당 2점을 추가한다는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또한 2.1 버전에 새로이 도입된 'Epic', 즉 난이도 뒤에 불이 붙은 맵을 받게 되면 1개당 3점을 추가한다.[51] 예시로 Featured가 붙은 맵 1개와 붙지 않은 일반 별맵 3개가 있다면 계산법은 2x1+3=5점. Featured가 붙었지만 별 개수가 붙지 않은 맵도 15개가 존재하는데, 이들은 맵 하나에 1점만 받는다.

6.2.2. 별 랭킹[편집]


별의 개수, 데몬 클리어 개수, 시크릿 코인의 개수가 랭킹을 좌우하는데, 별이 많을수록 랭킹 순위가 올라간다. 즉, 정규 스테이지와 온라인의 별맵들을 얼마나 많이 클리어했느냐에 따라서 랭킹이 정해진다.

랭킹에는 블라인드[52]라는 제도가 있으며, 이를 통해 부적절한 유저가 랭킹 활동에 참여할 수 없게 하고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핵을 쓰지 않는 죄 없는 애꿎은 유저들이 블라인드를 당하는 일도 많이 발생한다. 간혹 원인 불명의 이유로 정상적인 유저가 랭킹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블라인드가 아니다.[53]

Legit이란 '핵을 사용하지 않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의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정말로 많은 해커가 랭킹에 존재한다. 현재 Top100에서 핵 유저들 목록과 Legit Top100은 여기 에서 볼 수 있다. Legit top 항목에서 분홍으로 표시된 유저들은 legit, 하가늘색은 현재 해커로 확인된 iRawstep을 제외하면 미확인 유저들이다. 총 100명 중 21명 만이 Legit, 5명은 미확인, 74명은 해커이다. 랭킹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롭탑의 잘못이 크다.

예전에는 1주일에 1번씩 갱신되던 주간 랭킹이 있었다. 주간 랭킹이라는 이름답게 1주일 동안에 별을 많이 모은 유저가 등록되는 랭킹이었는데 현재는 2.0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었을 때 친구 목록으로 바뀌었다.

2021년 5월 21일, 4년만에 별 랭킹이 갱신되었다.


6.3. 퀘스트[편집]


파일:지메퀘스트.jpg

6시간마다 3개 + 추가로 3개가 갱신된다.
직접 확인 버튼을 눌러야 보상이 얻어지므로 꾸준히 확인하자.

Orb Finder: 오브 200개 모으기
Star Finder: 별 5개 모으기
Coin Finder: 유저코인 2개 모으기
Orb collector: 오브 500개 모으기
Star collector: 별 10개 모으기
Coin collector: 유저코인 4개 모으기

Orb master: 오브 1000개 모으기
Star master: 별 15개 모으기
Coin master: 유저코인 6개 모으기

6.4. 온라인 레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1. 데일리 레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2. 위클리 데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위클리 데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3. 건틀렛[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건틀렛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4. 맵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맵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 컨텐츠[편집]



7.1. 수집 아이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수집 아이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2. 업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업적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3. 금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금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4. 이스터 에그[편집]





파일:소웨98.jpg


7.4.1. 로딩화면[편집]


게임 시작 직후, 메뉴화면으로 넘어가기 전 몇초동안 보여지는 화면.



8. 커뮤니티[편집]




8.1.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2. 용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용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3. 기네스[편집]





8.4. 관련 인물[편집]





8.5. 관련 사이트[편집]




9. 업데이트 로그[편집]




10. 평가[편집]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메타스코어유저 평점



구글플레이App Store
4.3/5.04.6/5.0

간단한 그래픽과 특유의 게임성,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내재한 레벨 에디터의 존재 덕에 출시 초기에 폭발적인 인기몰이를 하며 모바일 플랫포머 게임의 대표주자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Geometry Dash가 인기를 끈 가장 큰 요인은 간단한 조작과 그래픽, 무궁무진한 자유도가 있다. 공식 레벨들의 난이도가 일반인 기준으로 쉬운 편은 아니지만 터치라는 단순한 개념으로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입문 및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에 일조했다고 평가받는다. 거기에 본인만의 레벨을 제작할 수 있는 레벨 에디터의 존재 덕에 활발한 온라인 활동도 가능해졌고, 1.0부터 2.1까지 이르는 업데이트를 통해 자유도를 크게 강화해주며[72] 이러한 장점을 크게 증폭시켰다. 특히 이 에디터의 자유도가 날개를 펼치기 시작한 1.9에 들어서서는 2020년에 들어서까지 그 수많은 가능성이 끝도 없이 구현되며 호평을 받는 덕분에 문제점 문서에 서술되어 있는 여러 심각한 문제들이 부각된 2.1에 들어서서도 Geometry Dash의 유저층을 붙잡게 해주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10년이 넘어가는 게임임에도 스팀에는 여전히 동시접속자 수가 5만명여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에서도 10위권 밖으로 퇴출된 적이 없다. 여러 논란은 뒤로 하고 스테디셀러임은 몸소 증명된 것.[73]


11. 문제점[편집]





12.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3. 여담[편집]













13.1. 2차 창작[편집]


팬아트의 경우 게임 속 장면을 일러스트로 표현하거나, 유명 GD 플레이어의 팬아트 또는 본인이 창작한 아이콘을 올리는 사람들이 많다.[75] 팬픽션, 팬코믹의 경우 원작에서 끌어올 만한 스토리가 별로 없다 보니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아이콘의 모험담 또는 본인이 게임 속으로 들어갔다면 등의 if설정이 있는 것들이 많고, 반대로 원작을 좀 변형한 세계관에서 진행되는 종류도 있다. 게다가 게임에 존재하는 얼굴 등등을 팬픽으로 그리는 사람들도 있다. 예를 들어서 데몬 얼굴은 난이도가 높을수록 모습이 괴기하고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상대적으로 앞의 것보다 마이너하긴 하지만 캐릭터화한 스테이지/음악, 공식 레벨/유저 레벨, 오브젝트, 플레이어 아이콘(때로는 게임 내 NPC)에 설정을 붙여 자캐나 파생캐를 만들기도 한다. 당연히 커플링, 역극 등도 활성화되어 있다(특히 서양 팬덤에서 많이 보인다). 이쪽은 개인의 상상력이 반영되다 보니 같은 것을 캐릭터화 시켜도 사람마다 다른 설정이 나오는 것이 특징. 아예 상기한 내용 외에도 게임에서 "모티브만 가져와서" 의인화 등을 시켜 1차 창작급 작품을 만드는 이들도 소수 존재한다.

의외로 게임 자체의 인기에 비해 2차 창작을 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데, 국내나 해외나 사정이 비슷하다. 마이너한 커뮤니티까지 범위를 넓히면 수가 늘겠지만 그걸 다 합쳐도 전체적 크기는 여전히 작다. 그래서인지 어떻게 보면 대형 2차 창작 팬덤에서 가끔 나타나는 극단적인 원작 왜곡이 별로 없는 편이기도 하다.

현재는 전성기였던 2015~2016년에 비해 비판 항목에 나와 있듯 게임의 안 좋은 면이 부각되면서 (꼭 그것 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2차 창작의 활동률도 조금씩 내려가고 있는 듯 하다.

2010년대 후반, 많은 팬들이 JSAB, Project Arrhythmia, ADOFAI 등 신생 리듬 액션 게임으로 빠져나갔고, 남은 사람들은 소수의 유명 아티스트 중심으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그나마 의미 있는 활동을 보이는 곳은 트위터가 유일하며, 초기에 활발하던 다른 커뮤니티들은 대부분 동결되었다. 팬덤 규모가 많이 줄어 신인 그림쟁이/글쟁이들이 과거에 비해 알려지기 어려운 편.

그래도 완전히 잊혀지지는 않았는지, Waterflame, meganeko 등 GD에 직접 참여했거나 연관 있는 작곡가들이 10주년 기념 헌정곡을 발매하기도 했다.



[1] Apple Silicon 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2] 크리에이트 기능(유저맵 기능) 한정[3] Lite, Meltdown, World만 해당[4] SubZero만 해당[5] 여담으로 라이트 버전 경우 구글 플레이 게임즈 베타 버전에서도 9월 2일 무렵에 출시를 했다. 2.2 버전도 곧 구글 플레이 게임즈 베타에 뜰듯 하다.[6] 트레일러에 사용된 음악은 PolargeistJumper.[7] 라이트판 소개다. 라이트 버전 소개는 이렇게 제대로 번역이 되어있는데, 정작 풀버전 소개는 이 리듬 기반의 액션 플랫 포머에 위험을 통해 귀하의 방법을 점프하고 날아!로 이상하게 번역되어 있다. 따로 소개를 번역해놓지 않으면 첫 캐치프레이즈만 자동으로 기계번역되어 표시되는 구글 플레이의 특성 때문으로, 제대로 번역하면 리듬을 기반으로 한 액션 플랫포머 게임인 이 게임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점프하고 날아가 보세요! 정도가 되겠다.[8] 이하 '롭탑'. 단, 서버 관리는 다른 개발자, 일부 유저(모더)와 협력하여 진행한다.[9] 게임에선 자신을 RubRub으로 일종의 애칭처럼 칭한다.[10] 원래는 원작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라이트 버전도 같이 업데이트되었으나 현재는 라이트 버전 업데이트가 더 빠르다. 라이트 버전 초기에는 1스테이지뿐이었고 아이콘 변경조차도 불가능했다.[11] 직역하면 기하학 점프. [12] TMM43은 뉴그라운즈 활동을 하므로 지금은 그의 곡 사용이 가능하다.[13] happymod에서 다운로드하면 파일 이름 중에 geometryjump라는 문구가 뜬다.[14] Geometry Dash의 풀버전.[15] 이마저도 2.2 버전을 업데이트 하면서 생긴거지 2.2 업데이트 이전에는 Electroman Adventures 밖에 없었다.[16] 2.21[17] 파일:Geometry Dash Lite 2.2 Updated News.png[18] PC판이 60 프레임 이상을 지원해 더 쉬운 편이다. 요즘에는 그나마 120hz를 지원하는 핸드폰이 여럿 출시되고 있다.[19] 버전 1.93부터는 이 아이콘들이 Steam 버전에서 언락되어 있으면 모바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20] 일명 '슈퍼점프' 라고 불린다. 이를 이용해 코인루트를 만든 맵도 존재한다. 심지어는 로봇에서 클릭하는 시간에 따라 점프의 높이가 달라진다.[21] 주로 오토마우스 사용시 자주 발생한다.[22] 게임이 모니터 사양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 일부 핵 프로그램에서 이 버그를 픽스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23] 한국은 8월 14일 KST 오전 5시에 공개. 위의 영상에 한국어 자막도 포함되어 있다.[24] 같은 날에 몬스터길들이기 게임 역시 출시된지 10주년이 맞이하여 현재 세대에게 추억이 될만한 1세대 모바일 게임들이 1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25] 정황상 며칠 전에 했던 설문조사도 이에 포함될 듯하다.[26] 크레딧에 나오는 맵은 GD10 이라는 하드데몬맵이며. 유명한 맵들을 합쳐놓은 맵이다.[27] 이 99%를 대놓고 노린 맵들이 매우 많다. 대표적으로 Forsaken neon과 Forsakan neon V2의 3배속 가시 Bloodbath와 Bloodlust의 3단가시, Lonely Travel의 마지막 소형 가시 등등...[28] 카피를 하려고 해도 카피를 막았으면 다른 방법을 찾으면 된다, 비번이 있으면 그 크리에이터의 유튜브나 맵 댓글에서 비번을 찾으면 된다.[29] 가끔 핵을 써서 카피를 막은 맵의 복사본을 올린 사람이 있다.[30] 강제적으로 전용 음악을 듣게 되는 연습모드보다는 맵을 복사하여 기존의 음악과 함께 연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권장을 하며, 타이밍을 익혀야 하는 난이도가 높은 맵일수록 이러한 방법으로 하는게 효율적이다.[31] 그나마 2021년 이전까지는 모니터 새로고침 빈도(Hz)가 차별점을 만들었지만, 2021년 중반부터는 360FPS Bypass까지 허용이 되어서 이젠 아무 의미도 없어졌다.[32] Cycles, xStep, Clubstep[33] 물론 텍스처팩을 이용하면 다른 BGM이 나오게 할 수 있다.[34] 답이 없는 상향평준화를 결국 인정한 결과이다.[35] 아예 애니메이션을 만들기도 한다.[36] 다만 은색 코인의 경우 무언가를 해야 코인을 준다. 자동으로 코인을 주는 맵은 거의 대부분 별을 받더라도 은색 코인으로 승격되지 않는다.[37] 이러한 경우엔 댓글창에서 좋아요가 많은 댓글들 중 비밀길 루트를 알려주는 댓글을 참고하면 된다.[38] 아예 두 번 누르고만 있으면 깰 수 있는 맵, 심지어는 한 번도 누르지 않고 깰 수 있는 맵도 있다.[39] 오히려 옛날에 만들어진 Easy 맵들에서 난이도가 밸런스 붕괴인 맵들이 많다.[40] 2.0 이후로 업로드되는 맵들은 평균적으로 공식맵 기준 Dry Out과 비슷한 난이도이다.[41] Hard Demon의 아이콘이며, 데몬이 5개로 나눠지기 전까진 이 아이콘으로 통합되어 있었다. Easy Demon, Medium Demon, Hard Demon, Insane Demon, Extreme Demon에 따라 아이콘도 달라진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42] 과거에 핵으로 클리어되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지만 시간이 지나 클리어된 맵들도 이 난이도에 대거 존재한다.[43] 2021년 중반~2022년 중반까지 순위가 엎치락뒤치락 했던 Sakupen Cirles, Abyss of Darkness, Slaughterhouse다.[44] 60hz 리스트를 보면 1, 2, 3등은 Cold Sweat, Yatagarasu, Sonic Wave 등이며 탑 10위권 라인인 firework에는 발끝에도 못 미친다.[45] 예로 Sakupen Circles는 9개, Acheron은 8개다.[46] 주의해야 할 것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반응속도 테스트와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반응속도 테스트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누르는 것이고 여기는 넘길 장애물이 미리 보이기 때문이다.[47] 디자인도 난이도를 결정짓는 큰 요소이다. 밑에 LIMBO같은 맵이 그 예시이다.[48] 이때 당시 Cataclysm, Bloodbath, Sakupen Hell 등이 출시되었다.[49] 5년동안 똑같은 속도로 오른 게 아니고, 포럼 1위가 4~5개월 만에 한 번 바뀌었을 때는 상향평준화가 계속된 상태였고 어느 맵이 장기 집권을 하면 상향 평준화가 조금 약해진다.[50] 지금은 Acheron이 11.5개월 째 1위 유지 중이며, 빠른 시일 내에 Tidal Wave가 1위를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Acheron은 평균적으로 보면 장기 집권 상태이다.[51] 2.2에는 Cp(크리에이터 점수)4짜리 Legendary와 Cp5 짜리 Godlike가 등장할 예정이다.) [52] 블라인드를 당하면 자신의 프로필 왼쪽 위에 있는 랭킹이 표시되지 않는다.[53] 제작자(Robtop)이 일부 정상 유저 사이에서 랭킹이 표시되지 않는 것은 자신이 그 유저를 블라인드 시켜서가 아니라, 시스템상의 문제라고 언급한 바가 있다.(Twitch 채팅에서, 2016년.)[54] "이 설정은 아무 역할도 하지 않아... 뭐, 적어도 쓸모 있는 역할은 말이야"[55] 포켓몬의 패러디.문질문질[56] "여기 용 있음"...이는 중세시대에, 지도상에서 미지의 영역들에 종종 바다 괴물 같은걸 그려넣었던 것에 대한 언구이다.[57] 게임상에 Vault라는 페이지가 있다.[58] 1840년 출간된 Thomas H Palmer의 《Teacher's Manual》의 구절이다.[59] Flux Pavilion의 Bass Cannon의 일부[60] 무슨 뜻이냐면 일단 게임을 실행했는데 죽고, 그러면 화가 나서 게임을 끄고, 시간이 지나면 멘탈이 돌아와서 다시 실행한다. 근데 또 죽으니까 다시 끄고 이걸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61] Youtube 영상 Shrek is Love, Shrek is Life 의 패러디이다.[62] Friday Night Funkin의 로딩화면에서도 동일한 문구가 조금 바뀌어서 나온다.[63] 게임 모두 Newgrounds와 관련이 있다.[64] spam, 즉 연타가 주요 난이도 구성 요소인 챌린지들의 리스트이다.[65] 모바일(60hz), 저주사율 PC(~75hz) 포럼[66] 61hz+의 기록은 이미 등재된 맵에서만 유효하며, 60hz 이하의 클리어 기록이 있을 때만 신규 등재 및 순위 확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67] 물론 물리적으로 완전히 불가능한 레벨은 리스트 등재대상에서 제외되며, 15CPS 이상의 연타를 요하는 패턴을 넣지 못하는 등의 제약이 있다.[68] ILL은 채점 자체가 zbot 등의 봇을 사용하는데 이게 프랙티스로 플레이하면 그 입력을 기억해서 실전에서 그대로 하는 방식이라 프랙티스만 쉬운 맵들은 순위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서 신빙성은 그렇게까지 높지는 않다. 무엇보다 맵 등재 기준이 낮은 편이라 맵을 발로 만들어도 등재가 돼서 상위권 맵들은 죄다 똑같은 싸구려 데코에 1칸 2p 웨이브 + 히트박스를 악용한 0.6칸 비행 복붙이다. 48시간만 투자하면 리스트에 맵을 올릴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 요즘은 고퀄 상위권 레벨들도 있다.[69] 맵 등재 조건에 여러 제약이 있는 위 iLL과 다르게, 레벨이 물리적으로 가능하기만 하면 등재가 가능한 리스트이다.[70] 61+hz의 기록은 이미 등재된 맵에서만 유효하며, 마찬가지로 60hz 이하의 클리어 기록이 있을 때만 신규 등재 및 순위 확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71] 90fps 이상, 360fps 이하의 기록만을 등재할 수 있다.[72] 대표적으로 1.7때 등장한 속도 포탈과 COL 채널의 등장, 1.8에 등장한 경사면, 1.9의 커스텀 음악 사용 가능 및 4개 색 동시 사용, 2.0부터 2.1까지의 트리거 등이 있다. 이것들 이외에도 수도 없이 많은 오브젝트들과 사용 블럭 한도 확장, 에디터 자체 시스템 개선 등 수도 없이 많은 패치가 진행되어왔다.[73] 또한 가격에 비해 플레이할 것이 많아서 심심할 때 생각나는 갓성비 게임이라고 평가받는다. 스팀에서의 대부분의 인디 게임이 만원 대인 것에 반해 지메대는 4400원 정도로 가격 동결을 하고 있다. 그리고 할인할때는 무려 1100으로 판매한다![74] 익데를 클리어하기 위해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를 써야 한다면 그래픽 카드의 의존도도 높아진다.[원문] Nothing's here yet. Sorry :([75] DeviantArt에 검색해보면 다양한 종류의 창작 아이콘을 볼 수 있다.

관련 문서